프로젝트 관리자가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어느 지식 영역에 속합니까?
a) 범위 관리
b) 이해관계자 관리
c) 의사소통 관리
d) 통합 관리
리스크 대응 전략 중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회피
b) 전가
c) 완화
d) 활용
프로젝트 일정을 압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은?
a) 패스트 트래킹
b) 크래싱
c) a와 b 모두
d) 리소스 레벨링
품질 관리 도구 중 하나로,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은 무엇입니까?
a) 파레토 차트
b) 관리도
c)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d) 특성요인도
프로젝트 범위 기준선은 어떤 문서들로 구성됩니까?
a) 범위 기술서, WBS, WBS 사전
b) 프로젝트 헌장, 범위 기술서, WBS
c) 요구사항 문서, 범위 기술서, 일정
d) WBS, 일정, 예산
다음 중 프로젝트 조달 관리 프로세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조달 계획 수립
b) 공급자 선정
c) 조달 수행
d) 리스크 식별
변경 통제 위원회(CCB)의 주요 역할은 무엇입니까?
a) 프로젝트 헌장 승인
b) 변경 요청 검토 및 승인/거부
c) 팀 성과 평가
d) 리스크 대응 전략 수립
프로젝트 관리자가 팀 구성원의 성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어떤 프로세스 그룹에 속합니까?
a) 착수
b) 계획
c) 실행
d) 모니터링 및 통제
어떤 의사소통 채널의 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n은 프로젝트 참여자의 수)
a) n(n-1)/2
b) n(n+1)/2
c) n(n-1)
d) 2n-1
프로젝트 착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로, 프로젝트의 존재 이유와 목표를 명시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a) 프로젝트 헌장
b) 범위 기술서
c) 이해관계자 등록부
d) 요구사항 문서
정답: b) 이해관계자 관리 해설: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관리하는 것은 이해관계자 관리 지식 영역에 속합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과 기대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프로세스입니다.
정답: d) 활용 해설: 활용(Exploit)은 기회에 대한 대응 전략입니다. 위협에 대한 대응 전략은 회피(Avoid), 전가(Transfer), 완화(Mitigate), 수용(Accept)입니다.
정답: c) a와 b 모두 해설: 패스트 트래킹(Fast Tracking)과 크래싱(Crashing)은 둘 다 일정 압축 기법입니다. 패스트 트래킹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을 병렬로 수행하는 것이고, 크래싱은 추가 자원을 투입하여 기간을 단축하는 기법입니다.
정답: d) 특성요인도 해설: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는 문제의 잠재적 원인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근본 원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품질 관리 도구입니다.
정답: a) 범위 기술서, WBS, WBS 사전 해설: 프로젝트 범위 기준선은 승인된 범위 기술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WBS 사전으로 구성됩니다.
정답: d) 리스크 식별 해설: 리스크 식별은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에 속합니다. 조달 관리 프로세스에는 조달 계획 수립, 조달 수행, 조달 통제가 포함됩니다.
정답: b) 변경 요청 검토 및 승인/거부 해설: 변경 통제 위원회(CCB)의 주요 역할은 제안된 변경 사항을 검토하고 승인 또는 거부하는 것입니다.
정답: d) 모니터링 및 통제 해설: 팀 구성원의 성과 평가는 모니터링 및 통제 프로세스 그룹에 속합니다. 이는 프로젝트 진행 중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입니다.
정답: a) n(n-1)/2 해설: 의사소통 채널의 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n(n-1)/2입니다. 여기서 n은 프로젝트 참여자의 수입니다.
정답: a) 프로젝트 헌장 해설: 프로젝트 헌장은 프로젝트의 존재 이유, 목표, 주요 이해관계자, 고수준의 요구사항 등을 명시하는 문서로, 프로젝트 착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입니다.